안녕하세요.
일반 사무직 종사자라면 연간 12시간 이상 안전보건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이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안전보건교육 시행근거_사무직 종사자
관련법령
* 산업안전보건법 제29조(근로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26조(교육시간 및 교육내용 등)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4(안전보건교육 교육과정별 교육시간)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5(안전보건교육 교육대상별 교육내용)
사업주는 사무직 종사 근로자에게 매반기 6시간 이상 다음의 내용을 포함하는 정기교육을 하여야 합니다.
이를 위반할 경우 산업안전보건법 제175조(과태료)에 의해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니 유의해야겠죠!
정기교육 내용
○ 산업안전 및 사고 예방에 관한 사항
○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 위험성 평가에 관한 사항
○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에 관한 사항
○ 유해·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 산업안전보건법령 및 산업재해보상보험 제도에 관한 사항
○ 직무스트레스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 직장 내 괴롭힘, 고객의 폭언 등으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과태료 세부기준
교육대상 근로자 1명당 1차 위반 10만 원, 2차 위반 20만 원, 3차 위반 50만 원
교육대상 관리감독자 1명당 1차 위반 50만 원, 2차 위반 250만 원, 3차 위반 500만 원
적은 금액이 아니니 교육이수에 신경 써서 과태료를 부과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 주세요..
안전보건교육의 경우 온라인 강의로 수강이 가능한대요. 교육을 이수한 후 시험을 봐야 합니다. 그 시험에 대한 답안을 공유하겠습니다. 일반 사무직 종사자들에게 도움이 되었음 하네요^^
7차시
▶ 다음은 산업안전 심리학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인간의 행동과 정신과정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2. 인간의 마음을 연구하면서 뇌손상 등을 연구하는 경우 생물학이라고 하기도 한다.
3. 방관자의 무관심을 일으키는 요인이나 특성을 연구하는 경우에는 사회학이라고 하기도 한다.
4. 인간의 생각이나 행동과 관련된 것은 제외된다.
☞ 정답 : 4. 인간의 생각이나 행동과 관련된 것은 제외된다.
▶ 다음은 동기의 기능에 대한 설명이다. 거리가 먼 것은?
1. 발생적 기능은 동기가 발생하면 어떤 목표를 지향하게 되고 그 목표가 달성될 때까지 긴장상태가 유지된다. 이 긴장상태를 벗어나서 목표달성을 위해 움직이게 하는 힘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2. 지향적 기능은 목표달성에 필요한 행동을 선택하는 선택적 기능과 목표를 지향하는 목적적 기능을 말한다.
3. 강화적 기능은 사람으로 하여금 결과가 주는 만족과 행동이 적합했는지를 판단하는 기능으로 앞으로의 활동에 있어서 보다 높은 활동의욕을 일으키고 그런 활동을 유지·증진시키는 것을 말한다.
4. 강화적 기능은 어떤 수단과 순서를 택해 어떤 방향으로 갈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 정답 : 4 강화적 기능은 어떤 수단과 순서를 택해 어떤 방향으로 갈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 다음은 안전심리 5요소를 설명한 것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기질
2. 동기
3. 감동
4. 습관
☞ 정답 : 3. 감동
▶ 다음은 휴먼에러의 본질에 대한 설명이다. 맞는 것은?
1. 가변성과 인간은 항상 실수를 일으키는 사고발생의 잠재요인이다.
2. 변혁성과 인간은 항상 실수를 일으키는 사고발생의 잠재요인이다.
3. 가변성과 인간은 실수를 일으키는 사고발생의 잠재요인이 아니다.
4. 변화성과 인간은 항상 실수를 일으키는 사고발생의 잠재요인이다.
☞ 정답 : 1. 가변성과 인간은 항상 실수를 일으키는 사고발생의 잠재요인이다.
▶ 다음은 안전심리에 환경특성과 사고요인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작업이 힘들거나 복잡
2. 환경상 주의 집중이 어려움
3. 기계설비 등에 결함이 있지만 작업자가 알기 어려움
4. 작업자에게 근심이 없고, 심신이 피로하지 않은 상태
☞ 정답 : 4. 작업자에게 근심이 없고, 심신이 피로하지 않은 상태
'교육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보건교육 하반기 답안(9)/근로자정기교육/산업안전보건법 (0) | 2024.07.24 |
---|---|
안전보건교육 하반기 답안(8)/근로자정기교육/산업안전보건법 (0) | 2024.07.24 |
안전보건교육 하반기 답안(6)/근로자정기교육/산업안전보건법 (0) | 2024.07.09 |
안전보건교육 하반기 답안(5)/근로자정기교육/산업안전보건법 (0) | 2024.07.09 |
안전보건교육 하반기 답안(4)/근로자정기교육/산업안전보건법 (3) | 2024.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