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일반 사무직 종사자라면 연간 12시간 이상 안전보건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이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안전보건교육 시행근거_사무직 종사자
관련법령
* 산업안전보건법 제29조(근로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26조(교육시간 및 교육내용 등)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4(안전보건교육 교육과정별 교육시간)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5(안전보건교육 교육대상별 교육내용)
사업주는 사무직 종사 근로자에게 매반기 6시간 이상 다음의 내용을 포함하는 정기교육을 하여야 합니다.
이를 위반할 경우 산업안전보건법 제175조(과태료)에 의해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니 유의해야겠죠!
정기교육 내용
○ 산업안전 및 사고 예방에 관한 사항
○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 위험성 평가에 관한 사항
○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에 관한 사항
○ 유해·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 산업안전보건법령 및 산업재해보상보험 제도에 관한 사항
○ 직무스트레스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 직장 내 괴롭힘, 고객의 폭언 등으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과태료 세부기준
교육대상 근로자 1명당 1차 위반 10만 원, 2차 위반 20만 원, 3차 위반 50만 원
교육대상 관리감독자 1명당 1차 위반 50만 원, 2차 위반 250만 원, 3차 위반 500만 원
적은 금액이 아니니 교육이수에 신경 써서 과태료를 부과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 주세요..
안전보건교육의 경우 온라인 강의로 수강이 가능한대요. 교육을 이수한 후 시험을 봐야 합니다. 그 시험에 대한 답안을 공유하겠습니다. 일반 사무직 종사자들에게 도움이 되었음 하네요^^
9차시
▶ 다음은 전압의 구분에 대한 설명이다. 거리가 먼 것은?
1. 직류 저압은 1500V 이하이다.
2. 직류 고압은 1500V 초과 7000V 이하이다.
3. 교류 저압은 1000V 이하이다.
4. 교류 고압은 7000V 이상이다.
☞ 정답 : 4. 교류 고압은 7000V 이상이다.
▶ 다음 중 전기작업 계획서 작성 대상은?
1. 전압이 50V를 넘지 않는 경우
2. 전압이 50V를 넘는 경우
3. 전기 에너지가 250VA를 넘지 않는 경우
4. 전기 에너지가 150VA를 넘지 않는 경우
☞ 정답 : 2. 전압이 50V를 넘는 경우
▶ 다음은 접지 설치 대상 제외 조건이다. 거리가 먼 것은?
1. 전기용품안전관리법에 의한 이중 절연 구조의 전기 기계·기구
2. 전기 기계·기구의 금속제 외함, 외피 및 철대
3. 절연대 위 등 같이 감전의 위험이 없는 장소의 전기 기계·기구
4. 비접지 방식 전로
☞ 정답 : 2. 전기 기계·기구의 금속제 외함, 외피 및 철대
▶ 다음 중 감전 재해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전기의 통로에 인체 등이 접촉되어 인체에서 단락 또는 단락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여 감전되는 직접 접촉 재해가 있다.
2. 전선로에 인체 등이 접촉되어 인체를 통하여 지락 전류가 흘러 감전되는 재해가 있다.
3. 누전 상태에 있는 기기에 인체 등이 접촉되어 인체를 통하여 지락 또는 섬락에 의한 전류로 감전되는 간접 접촉 재해가 있다.
4. 용접 시 불티 등이 인체에 접촉되어 전류가 흘러 생기는 재해가 있다.
☞ 정답 : 4. 용접 시 불티 등이 인체에 접촉되어 전류가 흘러 생기는 재해가 있다.
▶ 다음은 감전 재해의 종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상용 전기에 의한 전기 재해
2. 정전기에 의한 정전기 재해
3. 낙뢰에 의한 낙뢰 재해
4. 화상에 의한 재해
☞ 정답 : 4. 화상에 의한 재해
'교육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보건교육 하반기 답안(11)/근로자정기교육/산업안전보건법 (2) | 2024.07.24 |
---|---|
안전보건교육 하반기 답안(10)/근로자정기교육/산업안전보건법 (0) | 2024.07.24 |
안전보건교육 하반기 답안(8)/근로자정기교육/산업안전보건법 (0) | 2024.07.24 |
안전보건교육 하반기 답안(7)/근로자정기교육/산업안전보건법 (2) | 2024.07.24 |
안전보건교육 하반기 답안(6)/근로자정기교육/산업안전보건법 (0) | 2024.07.09 |